I. 모두 발언
안녕하십니까? 1월 23일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제가 먼저 말씀드릴 사안은 없습니다. 질문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Ⅱ. 질의 및 응답
<질문> 트럼프 2기 출범 이후에 처음 쿼드 외교장관회의가 열렸고 그 결과 공동성명이 나왔는데 한반도 비핵화가 빠졌는데요. 과거에 반드시 들어갔던 표현이 처음으로 빠진 걸로 알고 있는데 외교부는 어떻게 평가하시는지 또 관련해서 입장은 무엇인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미디어펜 김소정 기자)
<답변> 우리 정부가 쿼드 국가 간 공동성명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봅니다. 금번 쿼드 외교장관회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계기 갖게 된 것으로서, 과거 공동성명과 달리 쿼드 협력 방향에 대한 기존 원칙을 재확인하는 짧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북한뿐만 아니라 그 어떤 나라나 관련 이슈도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는 한반도와 역내, 전 세계 평화 안정에 필수 조건이자 국제사회가 일관되게 견지해 온 원칙으로, 우리는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국제사회와 계속 협력해 나갈 것입니다.
<질문> 오늘 한미 외교장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통화를 했는데요. 이 통화의 의의가 있다면 말씀해 주시고, 또 조태열 장관의 방미를 루비오 장관이 초청했는데 앞으로 방미 계획 어떻게 조율 중이신지도 여쭙습니다. (연합뉴스TV 김민아 기자)
<답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월 23일 금일 오전 마르코 루비오 신임 국무부 장관과 통화를 가졌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미국의 한국에 대한 방위 공약은 철통과 같이 확고함을 확인했으며, 양 장관은 북핵 문제 관련 긴밀한 공조를 유지해 나가기로 하였습니다. 아울러, 양 장관은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도 중요시했던 한미일 협력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고 관련 논의를 이어 나가기로 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한미 간 보다 구체적인 협력 방안 논의를 위해 조 장관의 방미를 초청했으며, 양측은 상호 편리한 가능한 이른 시기에 워싱턴에서 한미 외교장관 회담을 개최할 수 있도록 구체 일정을 조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질문> 앞선 질문과 이어지는 질문인데요. 오전 통화와 관련해서 외교부에서는 북한과 북핵 문제에 관련한 의견을 교환하셨다고 보도하셨는데 국무부 자료에서는 북핵 그리고 비핵화 관련해서는 명시적인 표현이 없고 인도·태평양지역의 공동 도전을 다룬다고만 언급이 되어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해서도 한번 평가 부탁드리겠습니다. (KBS 양민철 기자)
<답변> 국무부에서 낸 보도자료에 대해서 저희가 평가를 굳이 말씀드리지는 않겠습니다. 다만, 해당되는 보도자료 내용을 보면 한반도의 평화·안보·번영에 대해서도 언급이 있었던 것으로 저는 확인하고 있습니다.
<질문> 일본 정부가 중국을 비롯해서 우리 정부에도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을 일본에서 개최하자는 의사를 타진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요. 혹시 현재 3국 외교장관 회담 개최와 관련해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건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더팩트 김정수 기자)
<답변> 한일중 외교장관회의 개최와 관련해서 3국 간 구체적인 일정 등에 관하여 협의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결정된 사항은 없습니다.
추가 질문 없으시면 이상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끝.